미국 트럼프 대통령이 던진 관세폭탄으로 인해 국내 증시가 큰 충격을 받았습니다. 투자 심리가 급격히 위축되면서 코스피와 코스닥 모두 하락세를 면치 못했지만, 2차전지와 바이오 섹터에 투자하는 ETF들은 상대적으로 선방하며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이번 주 어떤 ETF가 좋은 성과를 거두었는지 살펴보고, 투자자들이 앞으로 어떤 전략을 취해야 할지 분석해보겠습니다.
국내 증시 현황: 관세폭탄에 흔들린 시장
3일 펀드평가사 KG제로인의 자료에 따르면, 지난주(2월 21~28일) 동안 국내 주식형 펀드의 평균 수익률은 -0.71%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미국 증시 부진과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조치에 대한 시장의 우려가 반영된 결과입니다.
- 코스피 지수: 4.59% 하락
- 코스닥 지수: 3.96% 하락
- 국내 주식형 펀드 평균 수익률: -0.71%
- 해외 주식형 펀드 평균 수익률: -2.73%
삼성전자와 같은 반도체 대형주가 투자심리 악화로 하락하면서 코스피는 부진한 흐름을 보였습니다. 반면, 2차전지와 바이오 업종 관련 ETF들은 상대적으로 양호한 성과를 기록했습니다.
주간 ETF 수익률 TOP 5
- SOL 전고체배터리 & 실리콘 음극재 ETF (+8.38%)
- 주요 보유 종목: 이수스페셜티케미컬(457190) 23.15%, 대주전자재료(078600) 16.68%, 삼성SDI(006400) 15.05%
- 전고체 배터리와 실리콘 음극재 관련 기업을 편입하여 차세대 배터리 산업의 성장 가능성에 투자하는 ETF
- ACE 포스코 그룹 포커스 ETF (+7.86%)
- 포스코 그룹의 핵심 기업들에 집중 투자
- TIGER 코스닥150 바이오테크 ETF (+4.36%)
- 바이오 업종에 집중 투자하며 견고한 상승세
- RISE 바이오 TOP10 액티브 ETF (+4.28%)
- 바이오 업종 상위 10개 종목 중심 투자
- TIGER 차이나 항셍테크 레버리지 ETF (+9.6%) (해외 주식형 ETF 중 최고 수익률)
- 중국 기술주에 2배 레버리지 투자
글로벌 시장 동향
한 주간 미국 증시는 기술주 중심으로 하락했습니다. 엔비디아(Nvidia)는 양호한 실적을 발표했음에도 불구하고 실적 발표 다음날 8% 넘게 폭락했습니다. 또한, 콘퍼런스보드 소비자 신뢰 지수가 예상보다 낮게 나오면서 경기 불확실성이 확대되었습니다.
- S&P500: 기술주 매도세로 하락
- 닛케이225: 미국 관세 정책 우려로 하락
- 유로스톡스50: 미국-우크라이나 광물 협정 기대감으로 상승
- 상해종합지수: 중국 양회(전국인민대표대회, 전국정치협상회의)에서 과학기술 투자 확대 기대감으로 상승
자금 흐름 분석
- 국내 주식형 펀드 설정액: 7억원 증가 (총 17조 8323억원)
- 채권형 펀드 설정액: 5019억원 증가 (총 38조 241억원)
- 머니마켓펀드(MMF) 설정액: 4조 3619억원 감소 (총 153조 3688억원)
위 데이터를 보면, 주식형 펀드로의 자금 유입이 소폭 증가했으며, 안전자산 선호 심리가 여전한 가운데 채권형 펀드로의 유입이 컸습니다. 반면, 단기 자금 운용에 활용되는 MMF 자금은 감소했습니다.
투자자 대응 전략
1. 방어적인 투자 전략 유지
현재 시장은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추가 관세 조치 가능성과 미국 증시의 변동성을 고려할 때, 적극적인 투자보다는 방어적인 전략이 필요합니다.
- 변동성이 낮고 배당 수익률이 높은 종목 중심으로 포트폴리오 구성
- 경기 방어주(헬스케어, 필수소비재) 비중 확대
- 채권형 ETF를 일정 비율 편입하여 변동성 관리
2. 2차전지·바이오 ETF 관심 지속
이번 주 시장에서 상대적으로 강한 모습을 보인 2차전지와 바이오 ETF는 앞으로도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합니다.
- 전고체 배터리, 실리콘 음극재 등 차세대 배터리 기술 관련 종목 편입 ETF 주목
- 바이오 산업의 성장성을 고려하여 바이오 관련 ETF 지속적 관심 유지
3. 중국 관련 ETF 기회 탐색
중국 정부의 과학기술 투자 확대 기대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상해 종합지수가 양호한 흐름을 보인 만큼, 관련 ETF를 통한 간접 투자도 고려할 만합니다.
- TIGER 차이나 항셍테크 레버리지 ETF와 같은 기술주 중심 ETF 검토
- 중국 정부 정책 수혜를 받을 가능성이 높은 반도체 및 전기차 관련 기업들 분석
마무리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폭탄으로 인해 글로벌 증시가 큰 변동성을 보이고 있지만, 2차전지 및 바이오 섹터는 상대적으로 양호한 흐름을 보였습니다. 투자자들은 이러한 섹터 중심으로 포트폴리오를 재정비하고, 변동성이 높은 시장에서 방어적인 전략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번 주 ETF 시장에서 어떤 흐름이 이어질지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지켜보며, 유망한 투자 기회를 탐색해 나가시길 바랍니다!
'경제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럼프의 관세 강행으로 미 증시와 전기차 주가 급락… 투자자 대응 전략은? (0) | 2025.03.04 |
---|---|
SKC, MWC2025 첫 참가! 반도체 혁신 이끌 글라스기판 공개 (0) | 2025.03.03 |
달러화 가치 상승… 글로벌 경제와 투자자들에게 미치는 영향은? (0) | 2025.03.03 |
EU, 철강산업 경쟁력 회복 및 관세 대응책 준비… 투자자들은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 (0) | 2025.03.03 |
테슬라, 주요 시장에서 판매 감소… 투자자들은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 (0) | 2025.03.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