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학

트럼프 행정부, 철강 및 알루미늄 25% 관세 부과 시행… 투자자 대응 전략은?

by Free Note_ 2025. 3. 12.
728x90
반응형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예고한 철강·알루미늄 25% 관세 부과 조치가 12일(현지시간)부터 공식 시행됩니다. 이에 따라 미국이 수입하는 모든 철강·알루미늄 제품 및 관련 파생상품 253개 품목에 대한 관세가 부과되며, 기존의 면세 조항은 폐기됩니다. 이번 조치가 글로벌 철강 시장과 국내 기업에 미칠 영향을 분석하고, 투자자들이 어떤 전략을 취해야 할지 살펴보겠습니다.

트럼프 행정부의 철강 관세 조치 개요

지난달 10일 트럼프 대통령이 서명한 행정명령에 따라 12일 오전 0시 1분(한국 시간 12일 오후 1시 1분)부터 미국이 수입하는 철강·알루미늄 제품과 관련 파생상품에 25%의 관세가 부과됩니다.

관세 적용 품목

  • 즉시 적용 품목: 볼트, 너트, 스프링 등 166개 파생상품
  • 추후 적용 품목: 자동차 부품(범퍼, 차체, 서스펜션 등), 가전 부품, 항공기 부품 등 87개 품목(미국 상무부 추가 공고 후 적용)

이번 조치로 인해 한국을 비롯한 철강 수출국들의 기존 면세 쿼터가 폐지되면서, 미국 시장에서의 가격 경쟁력이 상당히 약화될 가능성이 제기됩니다.

한국 철강업계에 미치는 영향

1. 기존 면세 쿼터 폐지로 인한 수출 환경 변화

한국은 2018년 미국과의 협상을 통해 연간 263만 톤의 면세 쿼터를 적용받아 왔지만, 이번 조치로 인해 한국산 철강 제품도 동일하게 25%의 관세가 부과됩니다. 이는 한국 철강업체들에게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2. 철강 가격 상승 및 미국 내 제품 경쟁력 상승

관세 부과로 인해 미국 내 철강 가격이 상승하면서 미국 철강업체(US스틸, 누코 등)의 가격 경쟁력이 상대적으로 향상될 가능성이 큽니다. 이에 따라 기존 한국산 제품의 수요가 미국산으로 대체될 우려도 있습니다.

3. 수출 경쟁국과의 경쟁 심화

전 세계를 상대로 동일한 25%의 관세가 적용되기 때문에 한국 철강업체가 특별히 더 불리해지는 것은 아니지만, 캐나다, 멕시코, 독일, 일본 등 주요 수출국들과의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글로벌 철강 시장 전망

미국 상무부 산하 국제무역청(ITA)에 따르면, 2023년 기준 미국이 가장 많이 수입한 철강 수출국은 다음과 같습니다.

국가 대미 철강 수출액(억 달러) 점유율(%)
캐나다 71.4 23%
멕시코 35.0 11%
브라질 29.9 9%
한국 29.0 9%
독일 19.0 6%
일본 17.4 5%

한국의 경우 전체 철강 수출액에서 미국이 차지하는 비중이 **약 13%**로 상당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어 이번 조치가 기업 실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큽니다.

투자자 대응 전략

이번 관세 조치는 철강업계를 비롯한 관련 산업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에 투자자들은 신중한 접근이 필요합니다.

1. 철강 관련주 단기 변동성 주의

관세 부과로 인해 포스코홀딩스, 현대제철, 동국제강 등 국내 주요 철강업체의 주가 변동성이 커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단기적으로는 조정이 예상되므로, 하락 시 매수 기회를 모색하거나 현금 비중을 확대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2. 미국 내 생산 확대 여부 주목

일부 한국 철강업체들은 미국 현지 생산 확대를 검토하고 있습니다. 미국 내에서 생산을 늘리는 기업들은 상대적으로 타격이 적을 수 있으므로, 이러한 움직임이 있는 기업을 주목하는 것도 투자 전략이 될 수 있습니다.

3. 원자재 가격 상승 반사이익 기대

철강 가격이 상승하면서 광산업체(철광석·알루미늄 생산업체) 및 관련 원자재 ETF가 수혜를 볼 가능성이 있습니다. 철강업계의 경쟁 심화 속에서, 비철금속 및 원자재 관련 종목에 관심을 가지는 것도 유효한 투자 전략이 될 수 있습니다.

4. 미국 시장 외 다변화 전략 체크

미국 시장 의존도가 높은 기업들은 타격을 받을 가능성이 큽니다. 하지만 동남아, 유럽, 인도 등 새로운 시장 개척을 통해 리스크를 줄이는 기업들에 대한 관심이 필요합니다.

결론

트럼프 행정부의 철강·알루미늄 25% 관세 부과 조치는 한국 철강업계와 글로벌 철강 시장에 상당한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에 따라 단기적인 주가 변동성을 고려한 신중한 투자 전략이 필요하며, 장기적으로는 시장 다변화 및 미국 내 생산 확대 등의 대응 방안을 고려하는 기업을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철강 및 원자재 관련 투자에 관심 있는 투자자라면 이번 조치를 신중하게 분석하고, 시장 흐름을 면밀히 체크하면서 대응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오늘도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경제 및 투자 관련 유용한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해드리겠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