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금리를 이렇게 올렸는데도, 물가가 왜 그대로일까?”
중앙은행이 강하게 조이는데도 쉽게 내려가지 않는 고물가,
그 현상이 바로 **스티키 인플레이션(Sticky Inflation)**입니다.
경제 회복 기대와 달리 완고하게 버티는 물가가
지금 전 세계 경제의 골칫거리가 되고 있어요.
🧷 스티키 인플레이션이란?
**스티키 인플레이션(Sticky Inflation)**은
일시적 쇼크가 끝났음에도 불구하고, 물가 상승률이 쉽게 낮아지지 않는 현상을 말합니다.
- 'Sticky'는 말 그대로 ‘끈적한, 잘 안 떨어지는’의 의미
- 특히 **임금, 서비스 요금, 주거비, 교육비 등 구조적으로 ‘잘 안 내려가는 물가’**가 많아요
🔍 왜 물가가 ‘끈적하게’ 유지되나?
1. 서비스 물가 중심의 인플레이션
- 음식점, 병원, 학원비, 미용 등은
노동 집약적이라 가격 하락 속도가 느림
2. 임금 상승의 정착화
- 노동자들이 고물가에 맞춰 임금 인상을 요구하고,
기업은 이를 다시 가격 인상으로 전가 → 악순환
3. 주거·렌트 비용 고정화
- 집세는 한 번 오르면 쉽게 내려가지 않음
→ 임대료가 꾸준히 물가를 끌어올림
4. 소비자 심리 고착
- “물가는 계속 오를 것”이라는 인식이
기업의 가격 정책에도 반영됨
📉 스티키 인플레이션의 문제점
- 고금리를 장기화해야 해 → 경기 둔화 위험 증가
- 실질 임금 감소 → 가계 소비 위축
- 기업 비용 부담 증가 → 투자 위축
- 정책 대응 난이도 상승 → 통화정책의 한계 노출
📊 주요 지표에서 보는 Sticky Inflation 항목
항목 | 특징 |
주거비 | 1~2년 단위로 계약되며 하방 경직성 강함 |
외식·서비스 | 고정 인건비 기반 → 쉽게 인하 어려움 |
교육·보육비 | 공공 성격이 강하고 조정 시기 제한 |
보험료·세금 | 정부 정책 결정에 따라 조정 지연됨 |
✅ 마무리하며
스티키 인플레이션은 단순히 물가가 높은 것이 아니라,
쉽게 내려가지 않는 구조적 물가 상승이기 때문에 더 복잡합니다.
금리를 얼마나 오래 유지할 것인지, 정책당국이 물가 잡기와 경기 부양 사이에서 어떻게 균형을 잡을 것인지가 향후 경제의 핵심 포인트가 될 거예요.
728x90
반응형
'경제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 산업, 실험에서 산업 중심축으로… 인공지능이 바꾸는 비즈니스 판도 (0) | 2025.04.08 |
---|---|
📈 New Normal 금리 시대, 이제는 '높은 금리'가 기본값? (0) | 2025.04.07 |
✈️ 연착륙(Soft Landing), 고금리 시대의 가장 이상적인 시나리오 (0) | 2025.04.07 |
[2025년 4월 7일 뉴욕증시 전망] 관세 충격 여진 계속… 무역전쟁 확산 우려에 변동성 확대 (0) | 2025.04.07 |
[반도체 뉴스 해설] D램 가격 반등, 업황 회복 신호일까?… 관세 리스크에 변수도 (0) | 2025.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