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가 13일(현지시간) 또다시 하락하며 주요 지수들이 조정장에 진입했습니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이미 조정 국면에 접어든 가운데, 시황을 가장 잘 반영하는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지수도 10% 이상 하락하며 조정장에 들어갔습니다.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도 9.3% 하락하며 조정장 진입을 목전에 두고 있습니다.
이날 시장에서는 테슬라가 3% 가까이 급락하며 투자자들의 실망을 샀고, 엔비디아는 장중 상승세를 보였으나 막판 매도세로 인해 소폭 하락 마감했습니다. 반면, 인텔은 새 CEO 발표 후 14.6% 폭등하며 이례적인 상승세를 기록했습니다.
뉴욕증시 주요 지수 현황
- 나스닥 종합지수: 345.44포인트(-1.96%) 하락, 17,303.01 마감
- 사상 최고점(20,173.89) 대비 14.2% 하락
- 3대 지수 중 가장 먼저 조정장 진입
- S&P500 지수: 77.78포인트(-1.39%) 하락, 5,521.52 마감
- 사상 최고점(6,144.15) 대비 10.1% 하락 → 조정장 진입
-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 537.36포인트(-1.30%) 하락, 40,813.57 마감
- 사상 최고점(45,014.04) 대비 9.33% 하락 → 조정장 직전
빅테크(M7) 주가 현황: 인텔은 급등, 테슬라는 급락
- 테슬라(TSLA): 2.99% 하락, 240.68달러 마감
- 이번 주 8.4% 급락 → M7 중 주간 낙폭 2위
- 개인 투자자(개미)들이 41억 달러어치 매수했으나 하락세 지속
- 엔비디아(NVDA): 0.14% 하락, 115.58달러 마감
- 장중 1.7% 상승했으나, 막판 매도세로 약세 전환
- 애플(AAPL): 3.36% 하락, 209.68달러 마감
- 4일 연속 하락
- 이번 주 누적 하락률 12% 이상, 올해 들어 15% 이상 하락
- AI ‘애플 인텔리전스’ 슈퍼사이클 기대감이 사라지며 투자 심리 악화
- 마이크로소프트, 메타(구 페이스북), 아마존 등 다른 M7 기업들도 동반 하락
- 인텔(INTC): 14.60% 급등, 23.70달러 마감
- 새 CEO로 ‘립부 탄’ 선임 발표 후 폭등
- 탄은 반도체 업계 베테랑으로, 캐던스디자인시스템스 CEO 출신
- 대만 TSMC와 AI 반도체 컨소시엄 소식 등 추가 호재 겹치며 상승세 지속
- 이번 주 상승률 14.83%, 올해 누적 상승률 3.14%
시장 하락의 원인: 트럼프 ‘상호관세’ 선언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다음 달 2일부터 ‘상호관세’ 정책을 강행할 것이라고 발표하면서 투자 심리를 더욱 위축시켰습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미국은 더 이상 일방적으로 관세에서 불이익을 보지 않을 것"이라며 유럽과 중국을 겨냥한 추가 관세 정책을 예고했습니다. 이는 글로벌 무역 긴장을 고조시키며 경제 둔화 우려를 키웠고, 이에 따라 투자자들은 기술주를 포함한 위험자산에서 벗어나려는 움직임을 보였습니다.
투자자 대응 전략
- 단기 변동성에 대비한 리스크 관리
- 시장이 조정장에 진입한 만큼, 당분간 변동성이 심화될 가능성이 큽니다.
- 레버리지 투자나 고위험 자산 투자는 신중히 접근해야 합니다.
- 반등 가능성이 높은 기업 선별 투자
- 테슬라와 애플은 단기적으로 투자 심리가 악화되었지만, 개미 투자자들의 적극적인 매수세가 확인되고 있습니다.
- 반면, 인텔은 CEO 교체와 함께 실적 개선 기대감이 커지고 있어 단기적으로 강세를 이어갈 가능성이 있습니다.
- 조정장에서의 저가 매수 전략
- 주가가 조정 국면에 접어든 만큼, 장기 투자자라면 분할 매수를 고려할 시점입니다.
- AI 및 반도체 관련 기업들은 장기적으로 성장성이 높은 만큼, 현재의 조정을 매수 기회로 삼을 수 있습니다.
- 미국의 관세 정책 주시
- 트럼프 전 대통령의 상호관세 정책이 실제 시행될 경우, 유럽 및 중국의 보복 조치로 인해 무역전쟁이 격화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 이에 따른 글로벌 경제 성장 둔화 가능성을 고려하여 방어적인 포트폴리오를 구축할 필요가 있습니다.
결론
뉴욕증시는 주요 지수들이 조정장에 진입하며 변동성이 극대화되고 있습니다. 특히 테슬라는 3% 가까이 하락하며 투자자들의 우려를 키운 반면, 인텔은 새 CEO 발표 후 14% 넘게 급등하며 대조적인 흐름을 보였습니다.
투자자들은 단기적인 시장 변동성에 흔들리지 않고, 리스크 관리를 강화하면서도 장기적 성장성을 고려한 전략적 접근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특히, 조정장에서 유망한 종목을 선별하여 분할 매수를 고려하는 것이 현명한 투자 전략이 될 수 있습니다.
'경제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햄버거부터 라면까지… 줄줄이 오르는 식품 가격, 소비자 부담 가중" (1) | 2025.03.14 |
---|---|
"금값, 사상 최고치 경신… 트럼프 관세 위협 속 안전자산 선호 강화" (1) | 2025.03.14 |
"비트코인, 트럼프 관세 위협에 하락… 1억2000만원대 후퇴, 투자자 대응 전략은?" (0) | 2025.03.14 |
"뉴욕증시 급락, 관세전쟁 불안 속 금값 최고치 경신… 투자자 대응 전략은?" (0) | 2025.03.14 |
"미국 기술주 급락 속 엔비디아는 선방… 투자자 대응 전략은?" (0) | 2025.03.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