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와 LG전자가 인공지능(AI)과 고효율 냉난방공조(HVAC) 제품을 앞세워 유럽 공조 시장을 적극 공략하고 있습니다. 양사는 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 열리는 글로벌 냉난방공조 전시회 'ISH 2025'에서 첨단 기술이 접목된 제품을 대거 선보이며 시장 내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 AI 기반 스마트 냉난방 솔루션 선보여
삼성전자는 이번 전시회에서 489㎡ 규모의 전시장을 마련하고 가정용부터 상업용까지 다양한 냉난방공조 제품을 공개했습니다. 특히, AI 기술을 접목한 제품을 중심으로 유럽 시장 내 점유율을 확대하려는 전략을 펼치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신제품으로는 고효율 냉난방 시스템인 히트펌프 ‘슬림 핏 클라이밋허브’가 있습니다. 이 제품은 200ℓ 전용 물탱크가 탑재된 가정용 히트펌프 EHS 제품으로, 7형 터치스크린 기반 'AI 홈'을 통해 사용자 편의성을 극대화했습니다. AI 기술을 활용해 실내 환경을 자동 분석하고 최적의 냉난방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또한 ‘비스포크 AI 무풍콤보’ 에어컨 신제품도 선보였습니다. 무풍 기능에 더해 섬세한 습도 센싱 및 제어 시스템을 갖춘 것이 강점입니다. 특히, '쾌적제습' 기능이 새롭게 탑재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였습니다. 이외에도 스마트홈 플랫폼인 ‘스마트싱스(SmartThings)’를 통한 기기 간 연결 편리성을 강조하는 전시 공간도 마련했습니다. 방문객들은 삼성 가전과 스마트싱스로 연결된 조명, 태양광 패널 등을 통해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하는 시나리오를 체험할 수 있습니다.
LG전자, 유럽 특화 HVAC 솔루션으로 차별화 전략
LG전자 역시 492㎡ 규모의 전시 공간을 마련하고 유럽 시장에 최적화된 HVAC 솔루션을 선보였습니다. 특히, 친환경과 에너지 효율성을 강조한 제품을 앞세워 경쟁력을 높이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주거용 히트펌프 ‘써마브이(Therma V)’를 유럽 고객들에게 소개했습니다. 이 제품은 외부 공기에서 열에너지를 얻어 실내 냉난방과 온수를 공급하는 ‘공기열원 히트펌프(Air to Water Heat Pump)’ 방식으로, 기존의 전통적인 난방 방식 대비 탄소 배출량을 줄일 수 있는 친환경 제품입니다.
또한 다세대 주택에 최적화된 고효율 히트펌프 ‘써마브이 모노블럭 G’도 함께 전시하며 다양한 주거 형태에 맞춘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LG전자는 지난해 7월 독일 프랑크푸르트에 ‘에어솔루션연구소’를 설립하고, 6월에는 노르웨이 오슬로에 히트펌프 컨소시엄을 구축하는 등 유럽 시장을 적극 공략하는 움직임을 보여왔습니다.
유럽 공조 시장에서의 전망과 투자자 대응 전략
유럽 공조 시장은 환경 규제 강화와 에너지 효율성에 대한 관심 증가로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특히, 유럽연합(EU)이 친환경 에너지를 중심으로 정책을 강화하면서 고효율 HVAC 제품에 대한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삼성전자와 LG전자의 유럽 시장 공략은 이러한 흐름에 맞춰 친환경, AI, 스마트 기술을 접목한 제품을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투자자들은 다음과 같은 전략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 장기적인 성장 가능성 주목: AI 기반 HVAC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만큼 삼성전자와 LG전자의 관련 사업 확대는 장기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큽니다. 특히, 유럽뿐만 아니라 글로벌 시장에서도 냉난방공조 솔루션 수요가 증가하고 있어 이에 따른 매출 증가가 기대됩니다.
- 스마트홈·친환경 제품 트렌드 반영: 전 세계적으로 친환경 제품과 스마트홈 연계 제품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만큼 관련 시장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장기적인 투자 기회를 모색할 필요가 있습니다.
- 유럽 시장 내 점유율 확대 여부 모니터링: 삼성전자와 LG전자가 유럽 내 HVAC 시장에서 얼마나 성공적으로 점유율을 확대하는지 모니터링하며, 향후 실적 발표 시 유럽 시장 관련 실적과 전망을 주의 깊게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 국내외 경쟁사 동향 분석: 삼성전자와 LG전자가 유럽 시장에서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어떤 차별화 전략을 펼치는지와 글로벌 HVAC 시장 내 다른 주요 경쟁사들의 대응 전략을 분석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결론적으로, 삼성전자와 LG전자의 이번 유럽 시장 공략은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중요한 전략적 선택으로 보입니다. 투자자들은 두 기업의 유럽 시장 진출 성과와 신제품 경쟁력을 면밀히 분석하면서 향후 투자 기회를 탐색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경제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워렌 버핏, 일본 종합상사 투자 확대… 글로벌 투자자 주목 (0) | 2025.03.17 |
---|---|
OECD, 한국 성장률 전망 1.5%로 하향… 경기 둔화 우려 확대 (0) | 2025.03.17 |
"비트코인, 1억2100만원대 횡보… 관세 전쟁 속 시장 불확실성 지속, 투자자 대응 전략은?" (1) | 2025.03.17 |
"1400원대에 고착된 원·달러 환율… 외환위기 이후 최고치, 투자자 대응 전략은?" (1) | 2025.03.17 |
"미국, ‘에그플래이션’ 공포 확산… 금값보다 비싸진 달걀, 투자자 대응은?" (0) | 2025.03.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