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미국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주요 지수가 큰 폭으로 상승하며 마감했습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이 관세 정책과 관련해 유화적인 태도를 보이면서 시장의 불확실성이 다소 해소되었고, 저가 매수 심리가 유입되면서 증시가 강하게 반등했습니다.
1. 주요 지수 현황
-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 전장 대비 485.60포인트(1.14%) 상승한 43,006.59에 마감
- S&P500지수: 전장 대비 64.48포인트(1.12%) 상승한 5,842.63에 마감
- 나스닥종합지수: 전장 대비 267.57포인트(1.46%) 상승한 18,552.73에 마감
2. 증시 반등 요인: 트럼프의 관세 완화 정책
이날 트럼프 전 대통령은 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USMCA)에 따른 자동차 관세를 한 달간 면제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또한 캐나다산 에너지에 부과된 10% 관세 철회를 고려할 수 있다는 소식도 전해지면서 투자 심리를 자극했습니다.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부 장관 역시 "캐나다와 멕시코에 부과된 관세는 유지되겠지만, 캐나다산 에너지 수입품에 대한 10% 관세 철회를 검토할 가능성이 있다"고 언급하면서, 시장은 추가적인 관세 완화 가능성에 주목했습니다.
3. 경제 지표: 민간 고용 부진 속 서비스업 회복
- 2월 민간 고용 증가: ADP 전미 고용보고서에 따르면 2월 민간 고용은 7만7천 명 증가에 그쳐, 시장 예상치(14만 명)의 절반 수준에 불과했습니다. 이에 따라 경기 둔화 우려가 커지면서 장 초반 증시는 약세를 보였습니다.
- 서비스업 경기 개선: 미국 공급관리협회(ISM) 발표에 따르면 2월 서비스업 구매관리자지수(PMI)는 53.5를 기록하며 1월(52.8)보다 상승했습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글로벌의 2월 서비스업 PMI도 51을 기록하며 확장 국면을 유지했습니다. 이에 따라 투자 심리가 개선되었습니다.
4. 업종별 동향: 자동차·기술·반도체 상승
- 자동차 업종 강세: 관세 유예 발표에 따라 자동차 업종이 급등했습니다.
- 포드모터스 +5.81%
- 제너럴모터스 +7.16%
- 스텔란티스 +9.24%
- '매그니피센트 7' 대형 기술주 상승
- 마이크로소프트 +3.19%
- 아마존, 메타 2%대 상승
- 테슬라 +2.60%
- 애플은 약보합세
- 반도체 업종 상승: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가 2% 상승하며 관련 종목들이 강세를 보였습니다.
- 엔비디아 +1.13%
- TSMC +2.38%
- 브로드컴 +2.19%
- ASML +4% 이상 상승
- 중국 관련주 상승
- 트립닷컴 +7.85%
- 징동닷컴 +6.86%
- 핀둬둬 +6.27%
5. 연준 정책 전망 및 투자자 심리
연방준비제도(Fed, 연준)가 발표한 베이지북에서 '관세'라는 단어가 총 45회 언급되며 기업들의 비용 증가 우려가 드러났습니다. 또한, **금리 동결 가능성이 22.5%**로 전일(18.9%)보다 증가했으며, **25bp 인하 가능성은 50.8%**로 소폭 상승했습니다.
한편, JP모건체이스에 따르면 개인 투자자들은 이날 미국 증시에서 12억 달러를 순매도했습니다. 이는 최근 증시 변동성이 심해지면서 개인 투자자들이 자금을 회수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6. 향후 투자자 대응 전략
- 자동차·반도체·기술주 비중 확대: 트럼프의 관세 완화 조치로 자동차 업종이 반등했고, 반도체 및 AI 관련 기업들도 꾸준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향후 정책 변동성을 고려하면서도 중장기적으로 우량주를 중심으로 비중을 확대할 필요가 있습니다.
- 경기 둔화 우려 대비: 민간 고용이 예상보다 부진한 만큼, 소비 둔화 및 경기 침체 가능성도 대비해야 합니다. 경기 방어적 성격이 강한 유틸리티 및 필수소비재 섹터에도 관심을 둘 필요가 있습니다.
- 연준 금리 정책 주시: 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가 여전하지만, 관세 및 경제 지표 변동에 따라 시장이 크게 출렁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금리 변화에 민감한 금융·부동산 섹터 투자에는 신중한 접근이 필요합니다.
- 현금 비중 조정 및 변동성 대응: 변동성이 확대되는 장세에서는 급격한 매매보다 단기 조정 시 저가 매수 전략을 고려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또한, 포트폴리오의 일부를 현금으로 유지하면서 유동성을 확보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7. 마무리: 시장 기대와 위험 요인
이번 주식시장은 트럼프의 관세 유화 정책에 대한 긍정적인 반응으로 강하게 반등했지만, 경기 둔화 우려가 여전히 존재합니다. 단기적으로는 반도체·기술·자동차 업종이 강세를 이어갈 가능성이 크며, 투자자들은 경기 및 연준의 정책 방향을 주시하며 신중한 투자 전략을 펼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오늘의 핵심 요약: ✅ 다우 43,000 돌파, S&P500·나스닥도 1% 이상 상승
✅ 트럼프, 자동차 관세 1개월 유예 및 캐나다산 에너지 관세 철회 고려
✅ 민간 고용 부진했으나, 서비스업 개선으로 투자 심리 회복
✅ 자동차, 반도체, 기술주 강세 지속
✅ 변동성 장세 대비한 신중한 투자 전략 필요
'경제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기업 10곳 중 3곳 자금 사정 악화… 건설·철강·석유화학 업종 ‘비상 (0) | 2025.03.06 |
---|---|
백종원 대표, 17억6000만원 배당…일반주주는 더 받는다 (0) | 2025.03.06 |
월 1.25% 배당 수익? 한화자산운용 ‘PLUS고배당주위클리고정커버드콜’ ETF 투자 전략 분석 (2) | 2025.03.05 |
코스피, 개인 매수세에 상승… 투자자 대응 전략은? (0) | 2025.03.05 |
인텔, AI PC 시대를 선도할 최신 노트북용 칩 공개… 투자자는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 (2) | 2025.03.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