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 혼란이 지속되면서 뉴욕증시가 전날 급락에 이어 또다시 하락했습니다. 시장 변동성이 커지면서 투자자들의 불안감이 증폭되고 있는 가운데, 향후 시장 전망과 대응 전략을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뉴욕증시, 이틀 연속 하락세
11일(현지시간)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478.23포인트(-1.14%) 하락한 41,433.48에 마감했습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42.49포인트(-0.76%) 내린 5,572.07,
나스닥 지수는 32.22포인트(-0.18%) 떨어진 17,436.10에 장을 마쳤습니다.
특히 S&P 500 지수는 지난달 19일 고점(6,144.15) 대비 9.3% 하락하며 기술적 조정국면(10% 이상 하락) 진입을 앞두고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 증시 변동성 확대
이날 뉴욕증시는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에 따라 급등과 급락을 반복하는 변동성 장세를 연출했습니다.
- 개장 초 강보합세를 보였으나,
- 오전 10시경 트럼프 대통령이 캐나다 온타리오주의 대미 수출 전기 요금 할증 부과를 비판하면서 캐나다산 철강·알루미늄에 추가 25% 관세를 예고하자, 3대 지수 모두 낙폭을 키웠습니다.
- S&P 500 지수는 장중 한때 1.5%까지 하락하며 고점 대비 10% 넘게 폭락하기도 했습니다.
- 이후 온타리오주가 전기요금 할증 중단을 발표하고 트럼프 대통령이 이를 존중하겠다는 반응을 보이면서 낙폭이 축소됐습니다.
- 장 마감 후 백악관이 캐나다산 철강·알루미늄 대상 추가 관세 철회 방침을 밝혀 증시가 반응할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우크라이나 대표단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을 30일간 멈추자는 미국의 휴전안을 수용하면서 휴전 기대감이 커진 것도 투자심리 회복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종목별 주가 움직임
전날 급락했던 테슬라(3.79%), 엔비디아(1.66%), 메타(1.29%) 등 주요 기술주는 이날 저가 매수세로 반등했습니다.
반면, 델타항공은 국내선 항공 실적 전망을 하향 조정하면서 7.25% 급락했습니다.
반대로 사우스웨스트항공은 무료 수하물 정책 폐지 발표로 8.34% 급등했습니다.
소비 약화를 반영한 백화점 체인 **콜스(Kohl’s)**는 24.06% 폭락하며 소비 둔화에 대한 우려를 키웠습니다.
투자자 대응 전략
뉴욕증시의 변동성이 커지는 상황에서 투자자들은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요?
1. 단기 변동성에 흔들리지 않는 장기 투자 전략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이 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만, 단기적인 변동성을 피하려면 장기적인 성장 가능성이 높은 종목을 중심으로 투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 주가 하락 시 분할 매수 전략 활용
최근 증시 조정으로 인해 저가 매수 기회가 생길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급락한 우량주에 대해 분할 매수 전략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3. 안전자산 비중 확대
최근 증시 급락과 변동성을 고려하면 금(Gold), 미국 국채 등 안전자산의 비중을 일정 부분 유지하는 것도 좋은 대응 전략이 될 수 있습니다.
4. 관세 정책의 변화 주시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 기조에 따라 시장 흐름이 급격하게 변화할 수 있습니다. 백악관과 의회의 경제정책 동향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면서 투자 전략을 조정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5. 기술주 및 필수 소비재 섹터 주목
최근 급락한 빅테크 종목들은 장기 성장성이 높은 기업들이 많기 때문에 저가 매수 기회를 노리는 전략이 유효합니다. 또한, 필수 소비재 섹터는 경기 둔화 시기에도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수익을 제공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결론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과 경기 침체 우려로 뉴욕증시가 큰 폭으로 조정을 받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조정 국면을 장기적인 투자 기회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 장기적인 관점에서 우량주를 중심으로 분할 매수 전략을 활용하고,
- 금과 같은 안전자산을 일부 보유하며 변동성에 대비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 변화와 글로벌 경제 흐름을 지속적으로 주시하면서 대응 전략을 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오늘도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투자에 도움이 되는 유익한 정보를 제공하겠습니다!
여러분의 투자에 행운이 함께하기를 바랍니다.
'경제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TSMC와 삼성전자 파운드리 시장 격차 확대… 투자자 대응 전략은? (0) | 2025.03.12 |
---|---|
서학개미, 미국 증시 급락에 직격탄… 투자자 대응 전략은? (0) | 2025.03.12 |
삼성전자, 역대 최대 R&D 투자에도 실적 부진… 투자자 대응 전략은? (0) | 2025.03.12 |
폭스바겐, 2023년 대비 순이익 30% 감소… 투자자 대응 전략은? (0) | 2025.03.12 |
트럼프발 경기 침체 우려에 하락한 아시아 증시... 투자자 대응 전략은? (0) | 2025.03.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