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4분기(10~12월) 기준 글로벌 반도체 파운드리 시장에서 대만 TSMC와 삼성전자의 점유율 격차가 더욱 벌어졌습니다. 삼성전자가 2위를 유지하고 있지만 매출 감소와 중국 업체의 추격으로 인해 시장 내 입지가 흔들리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글로벌 파운드리 시장의 변화를 분석하고, 투자자들이 어떤 전략을 취해야 할지 알아보겠습니다.
TSMC vs 삼성전자: 파운드리 시장 점유율 변화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TSMC의 2024년 4분기 파운드리 시장 점유율은 67.1%**로 직전 분기 대비 2.4%포인트 상승했습니다. 반면, 삼성전자의 점유율은 9.1%에서 8.1%로 1%포인트 하락하며 두 회사의 격차는 55.6%포인트에서 59%포인트로 더욱 벌어졌습니다.
트렌드포스는 "AI 서버, 플래그십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새로운 PC 플랫폼의 강력한 수요로 인해 TSMC의 웨이퍼 출하량이 증가했다"고 분석했습니다. 반면, 삼성전자는 첨단 공정에서 신규 고객사를 확보하지 못하며 기존 고객사 이탈을 상쇄하지 못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파운드리 시장 변화와 삼성전자의 도전 과제
삼성전자는 2017년 파운드리를 독립 사업부로 출범시킨 이후 2021년 15~16%대 점유율을 유지했지만, 2023년부터 하락세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2023년 12%대를 유지하다 2024년 상반기 11%대, 3분기에는 한 자릿수 점유율로 떨어졌습니다.
1. 미국 관세 정책과 파운드리 산업 영향
트럼프 행정부의 새로운 관세 정책이 파운드리 산업에 영향을 미치기 시작했습니다. 지난해 4분기부터 미국으로 향하는 TV, PC, 노트북 주문이 크게 증가하면서 해당 제품에 사용되는 반도체 수요도 증가했습니다. 이런 트렌드는 2024년 1분기까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러나 삼성전자는 아직 TSMC에 비해 시장 대응력이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2. 첨단 공정에서의 경쟁력 확보 필요
삼성전자는 3nm 공정에서 TSMC와의 기술 격차를 줄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고객사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반면, TSMC는 애플, 엔비디아, AMD 등 주요 기업과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안정적인 주문을 확보하며 시장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3. 중국 업체와의 경쟁 심화
중국 기업들이 범용 반도체 시장에서 빠르게 성장하면서 삼성전자의 입지가 더욱 위축되고 있습니다. 특히, 중국 업체들의 저가 전략이 파운드리 시장에 영향을 미치면서 삼성전자의 점유율 방어가 더욱 어려운 상황입니다.
투자자 대응 전략
1. 반도체 업황 회복 시점을 고려한 장기 투자
삼성전자의 파운드리 사업이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반도체 시장은 주기적인 변동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AI 반도체 및 고성능 컴퓨팅(HPC) 시장이 성장하면서 파운드리 시장도 장기적으로 확대될 전망입니다. 따라서 삼성전자의 중장기적인 회복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장기 투자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 삼성전자의 배당 및 주주 친화 정책 활용
삼성전자는 안정적인 배당 정책을 유지하며 주주 가치를 보호하고 있습니다. 단기적인 주가 변동성에도 불구하고 배당 수익률을 고려한 장기 보유 전략이 유효할 수 있습니다.
3. 파운드리 경쟁력 확보 여부 주목
삼성전자가 3nm 공정의 양산 안정성을 높이고, 주요 고객사 확보에 성공한다면 주가 반등의 기회를 맞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특히, AI 반도체와 HBM(고대역폭 메모리) 시장에서의 성과가 중요하기 때문에 해당 분야에서의 기술 개발 및 수주 실적을 면밀히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습니다.
4. 주가 하락 시 분할 매수 전략 활용
삼성전자의 주가는 현재 파운드리 점유율 감소 등의 악재로 인해 조정을 받고 있지만, 반도체 업황 회복과 함께 반등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단기적인 하락을 매수 기회로 삼아 분할 매수 전략을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결론
TSMC와 삼성전자의 파운드리 시장 점유율 격차가 확대되면서 삼성전자의 입지가 흔들리고 있지만, 장기적인 관점에서 여전히 회복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AI 반도체 및 HPC 시장의 성장과 함께 파운드리 산업도 발전할 것이기 때문에 삼성전자의 기술력과 시장 전략을 주의 깊게 살펴보며 투자 전략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투자자들은 삼성전자의 배당 및 주주 친화 정책을 활용하면서, 파운드리 사업의 성장성과 AI 반도체 시장에서의 성과를 모니터링하며 신중한 투자 전략을 수립해야 합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유익한 투자 정보를 제공해드리겠습니다!
'경제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뉴욕 증시 하락 지속… S&P500 종목 73% 조정 국면 진입 (0) | 2025.03.12 |
---|---|
트럼프의 가상화폐 전략 비축에도 흔들리는 비트코인… 시장 전망과 투자자 대응 전략 (0) | 2025.03.12 |
서학개미, 미국 증시 급락에 직격탄… 투자자 대응 전략은? (0) | 2025.03.12 |
트럼프 관세 정책 혼란 속 뉴욕증시 연이은 하락… 투자자 대응 전략은? (0) | 2025.03.12 |
삼성전자, 역대 최대 R&D 투자에도 실적 부진… 투자자 대응 전략은? (0) | 2025.03.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