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학

📉2025년 4월 10일 뉴욕증시 급락: 다시 고개 든 관세 리스크

by Free Note_ 2025. 4. 11.
728x90
반응형

전날까지 폭등세를 보이던 미국 뉴욕증시가 하루 만에 관세 쇼크에 다시 급락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중국 대상 관세 강화가 시장 불안을 자극하며 무역전쟁 격화 우려를 키웠고, 그 여파로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은 무려 4.31% 하락했습니다.


🧾 지수 마감 현황 요약

지수 종가 포인트 하락 하락률
다우존스 39,593.66 -1,014.79pt -2.50%
S&P500 5,268.05 -188.85pt -3.46%
나스닥 16,387.31 -737.66pt -4.31%
  • 전날 8~12% 폭등한 반등이 하루 만에 무너짐
  • S&P500 지수는 관세 발표 직전보다 7.1% 낮은 수준

🎯 트리거: 다시 고조된 미·중 무역 전쟁

CNBC 보도에 따르면 백악관은 중국산 제품에 부과된 관세가 총 145%에 이른다고 재확인했습니다.

  • 기존 관세: 팬타닐 문제로 2차례 10%씩 부과 → 20%
  • 9일 발표한 상호관세: 125%
  • 총합 145% → 사상 최고 수준

📌 “트럼프의 관세 유예는 중국 제외 정책…중국엔 정면 승부”

이로 인해 중국과의 관계는 다시 냉각, 무역전쟁 장기화 가능성이 커졌고, 이는 투자자 심리를 다시 위축시켰습니다.


🔻 업종별 주가 흐름

업종 변화율 비고
에너지 -6% 이상 유가 하락, 무역 둔화 우려
기술, 통신서비스 -4%대 하락 AI 관련주 전반 급락
필수소비재 강보합 경기 방어주 중심 선방

📉 빅테크·AI 중심주 하락률 (매그니피센트7)

  • 애플, 아마존, 엔비디아, 메타, 마이크로소프트 등 -2.3%~7.3% 하락
  • 특히 엔비디아, 테슬라, 메타 등 AI 핵심주 중심 낙폭 확대

📉 기타 개별 종목

  • 카맥스: -17.0%
    • 4분기 실적 기대치 하회
  • JP모건, 모건스탠리, 웰스 파고: 다음날 실적 시즌 개막 예정

💬 시장 반응 및 전문가 진단

“투자자들은 아직 ‘최종 게임’이 뭔지 모른다. 관세가 모든 것을 지배하고 있다.”
— 폴 놀테 (머피앤사일베스트 수석자산 고문)

“경제 지표는 좋았지만 관세 불확실성이 전부를 덮어버렸다.”
— 폴 히키 (비스포크 공동 창립자)

“무역 정책 불확실성이 해소돼야 연준도 금리 인하 여지 생긴다.”
— 오스틴 굴스비 (시카고 연은 총재)


🧾 CPI(소비자물가지수) 호조에도 반응 無

  • 3월 핵심 CPI: 전년 대비 2.8% 상승 → 연준 목표치(2%)에 근접
  • 전월 대비 -0.1% 하락 → 5년 만에 최저 상승률

📌 하지만 트레이더들은 이 지표가 “관세 반영 전”이라며 의미 축소


🌍 국제 협상: 유럽과는 훈풍

  • 우르줄라 폰 데어 라이엔 EU 집행위원장:
    “미국과의 협상을 지지하며 보복 관세를 연기할 것”

유럽과의 갈등은 완화, 중국과의 전선은 확대


📌 투자자 대응 전략

구분 전략 제안
단기 투자자 변동성 확대 구간, 적극적 트레이딩보다는 보수적 관망 전략 추천
중장기 투자자 AI·기술주 중심 포트폴리오 재조정 필요, 방어주 편입 고려
경제지표 감시자 CPI·PPI보다 관세 정책과 국제 협상 진척이 우선 변수

✍️ 마무리 코멘트

이번 급락은 단순한 조정이 아니라, 정책 불확실성에 따른 시스템 리스크 반영이었습니다.
시장은 여전히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방향성, 외교적 수위, 그리고 중국과의 협상 가능성을 주시하고 있습니다.

전일의 폭등은 관세 유예라는 ‘희망적 신호’였고, 오늘의 폭락은 그 이면의 현실이었습니다.

앞으로의 시장은 정치 리스크에 더욱 민감하게 반응할 것입니다. 투자자는 일희일비보다는 리스크 분산과 방어 전략에 집중할 시기입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