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학

SK온, 올해 흑자 전환 가능성 제기…투자자 관점에서 주목할 포인트는?

by Free Note_ 2025. 3. 9.
728x90
반응형


최근 투자은행(IB) 업계 일각에서 SK온의 2차전지 부문이 올해 연간 흑자 전환할 가능성이 있다는 전망이 나와 시장의 관심을 모으고 있습니다. 전체 증권가는 대체로 2026년에야 흑자로 돌아설 것으로 예상하고 있지만, 일부 전문가들이 보다 낙관적인 전망을 제시하면서 투자자들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오늘은 SK온의 흑자 전환 전망의 배경과 근거를 자세히 살펴보고, 투자자 입장에서 이러한 흐름을 어떻게 해석하고 대응해야 하는지에 대해 분석해 보겠습니다.

SK온의 흑자 전환 전망, 왜 앞당겨졌을까?

IB 업계에서 SK온의 흑자 전환 시기가 앞당겨질 수 있다고 전망하는 가장 큰 이유는 전기차 시장의 수요 회복 속도가 예상보다 빠르게 나타날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최근 미국 내 금리 인하 가능성이 확대되면서 전기차 판매가 증가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고 있습니다. 이른바 '트럼프 세션'이라 불리는 미국의 경기 둔화에 따른 금리 인하 정책은 소비자들의 전기차 구매 부담을 낮춰 2차전지 수요 증가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또한, 미국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 역시 중요한 요인입니다. SK온과 포드의 합작사인 블루오벌SK는 지난해 말 미국 에너지부로부터 약 96억 3000만 달러(13조 8000억 원)의 대출 승인을 받았습니다. 이러한 자금은 SK온의 재무적 안정성을 강화하고, 추가 투자를 원활히 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SK온이 미국 현지에서 공장을 건설할 때 받을 수 있는 첨단제조생산세액공제(AMPC) 혜택 역시 올해만 9420억 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어 실적 개선에 큰 힘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시장 전반의 다소 신중한 입장

하지만 전체 증권가의 시각은 조금 더 보수적입니다. 올해 SK온이 여전히 3340억 원 규모의 영업 손실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되며, 흑자 전환은 내년에야 가능하다는 분석이 우세합니다. 실제로 SK온은 지난해에도 약 1조 1270억 원의 영업 손실을 기록한 바 있으며, 특히 4분기에는 미국의 정책 불확실성과 일시적인 수요 둔화(캐즘)로 인해 다시 적자로 돌아섰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올해 실적을 보는 시각은 조금 더 조심스러울 수밖에 없습니다. SK증권 역시 올해 SK온 2차전지 부문의 실적에 대해서는 여전히 적자 지속을 전망하고 있지만, 다른 사업 부문과의 통합 시에는 흑자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고 있습니다.

투자자들이 주목해야 할 포인트

투자자 입장에서는 몇 가지 중요한 포인트를 주목해야 합니다.

첫째, SK온이 실제로 올해 2차전지 부문의 흑자 전환 가능성을 현실화할 수 있을지 여부입니다. 하반기 실적 개선이 확인될 경우, 2026년 기업공개(IPO) 준비 과정에서 긍정적인 모멘텀이 될 수 있습니다.

둘째, SK온이 재무적 투자자(FI)들과 약속한 IPO 일정과 기업가치를 지킬 수 있을지 여부입니다. SK온은 약 3조 원의 투자 유치를 하면서 2026년까지 적격상장(Q-IPO)을 약속했고, 투자자들에게 약속한 내부수익률(IRR)은 7.5%입니다. 만약 기업 가치가 약속된 수준에 미치지 못하면 FI들이 동반매도청구권(드래그얼롱)을 행사할 수 있어 SK온과 SK이노베이션 모두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셋째, 미국 에너지저장장치(ESS) 시장 등 새로운 성장 기회를 얼마나 잘 활용할 수 있을지도 중요한 판단 기준입니다. SK온은 최근 에너지저장장치 시장의 성장성을 기반으로 기업가치를 40조 원 수준으로 추산하고 있으며, FI들도 이에 동의하는 분위기입니다.

대응 방향 및 결론

투자자들은 SK온의 올해 실적과 함께 중장기적인 성장 전망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필요가 있습니다. 특히 하반기 미국 시장의 전기차 수요 회복 및 정부 정책의 지속성 여부가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것입니다.

SK온이 예상보다 빠르게 흑자 전환에 성공한다면, IPO에 대한 기대감과 함께 기업 가치가 빠르게 상승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반대로, 실적 회복이 늦어질 경우 IPO 일정 연기와 투자자들의 신뢰 저하로 이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결국 투자자들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SK온이 단기적인 성과보다 장기적인 경쟁력을 유지하고 강화할 수 있는 전략적 방향성을 갖추었는지 여부입니다. 앞으로의 실적 추이와 더불어 미국 정부 정책의 지원 지속성 여부 등을 면밀히 주시하면서 신중하고 전략적인 접근을 권장합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