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가 사흘 만에 다시 하락세로 마감했습니다. 기술주의 급락과 이스라엘의 가자지구 공습 재개로 인해 투자 심리가 위축되면서 다우지수, S&P500, 나스닥 모두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또한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결정을 앞두고 투자자들이 신중한 태도를 보이며 변동성이 확대되었습니다.
뉴욕증시, 주요 지수 동반 하락
18일(현지 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날보다 260.32포인트(0.62%) 하락한 4만1581.31로 거래를 마감했습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60.45포인트(1.07%) 내린 5614.66을 기록했고,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304.54포인트(1.71%) 떨어진 1만7504.12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이번 하락은 연방준비제도의 통화정책 회의를 앞둔 투자자들의 관망세와 중동 긴장 고조가 맞물려 발생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연준의 FOMC 회의와 시장 기대
뉴욕증시는 이날 개회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3월 회의 결과를 기다리는 가운데 경계감을 보였습니다. 연준은 19일 FOMC 회의 결과와 함께 금리 전망치를 담은 점도표를 공개할 예정이며, 시장은 연준의 정책 기조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습니다.
미국 시카고상품거래소(CME)의 ‘페드워치 툴’에 따르면 연준이 이번 회의에서 금리를 동결할 가능성은 99%로 전망됩니다. 다만 향후 금리 인하 시점과 속도에 대한 연준의 입장이 투자 심리를 좌우할 핵심 요소로 작용할 것입니다.
기술주 약세… 엔비디아·테슬라 급락
이날 기술주는 전반적으로 큰 폭의 하락을 보였습니다. 특히 엔비디아가 3.43% 하락했고, 테슬라는 5.34% 급락했습니다.
엔비디아는 현재 미국 새너제이에서 GTC 2025를 개최 중이며, 이번 행사에서 차세대 인공지능(AI) 반도체를 발표했지만 주가 하락을 막지는 못했습니다.
그 외에도 메타(-3.73%), 알파벳(-2.34%), 아마존(-1.45%), 애플(-0.61%) 등 주요 기술주들이 일제히 하락하며 시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중동 긴장 고조, 글로벌 불확실성 확대
이날 이스라엘군이 가자지구에 대한 대규모 공습을 재개하면서 중동 정세의 불확실성이 증대되었습니다. 가자지구에서의 전면적인 교전이 재개될 경우 글로벌 원자재 시장과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클 것으로 예상됩니다.
미국과 러시아 정상 간 통화에서 우크라이나 전쟁과 관련된 논의가 이뤄졌지만, 러시아는 ‘30일 전면 휴전안’을 거부하며 갈등이 지속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습니다.
원자재 시장 동향: 유가는 하락, 금값은 상승
국제유가는 우크라이나 평화 협상 기대감과 중동 리스크가 맞물리며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 뉴욕상업거래소에서 4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 원유(WTI)는 전 거래일 대비 0.68달러(1.01%) 하락한 배럴당 66.90달러에 거래를 마감했습니다.
- 5월 인도분 브렌트유는 0.51달러(0.72%) 하락한 배럴당 70.56달러를 기록했습니다.
반면, 금값은 안전자산 선호 심리가 강해지면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 뉴욕상품거래소에서 4월 만기 금 선물 종가는 1.3% 상승해 온스당 3043.40달러를 기록했습니다.
삭소은행의 올레 한센 상품 전략 책임자는 “금값 상승 요인이 완벽하게 몰려 있다”라며 “최근의 초점은 미국 경제 방향에 대한 우려뿐만 아니라 중동 지역의 불안까지 포함된다”고 분석했습니다.
투자자 대응 전략
- 기술주 변동성 주의: 기술주 중심의 하락세가 지속되고 있어 단기 투자보다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투자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습니다.
- 금과 같은 안전자산 투자 고려: 중동 정세 불안과 경기 둔화 우려가 커지고 있어 포트폴리오 다변화 차원에서 금과 같은 안전자산을 일정 부분 보유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습니다.
- 연준 정책 주목: 19일 FOMC 회의에서 금리 정책이 발표되므로 연준의 스탠스를 확인한 후 투자 방향을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 국제정세 모니터링: 중동 긴장, 우크라이나 사태 등 지정학적 리스크가 시장 변동성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므로 관련 뉴스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결론
뉴욕증시는 연준의 금리 결정을 앞두고 기술주 급락과 중동 정세 불안으로 인해 하락 마감했습니다. 엔비디아와 테슬라를 비롯한 주요 기술주의 부진이 이어졌고, 이스라엘-팔레스타인 갈등이 격화되면서 시장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반면, 안전자산인 금은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며 상승했습니다.
앞으로 투자자들은 연준의 정책 변화, 기술주 실적, 국제 정세 등을 면밀히 살펴 신중한 투자 전략을 수립해야 할 것입니다.
'경제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엔비디아, AI 영역 확장 선언… 로봇과 PC로 새로운 시대 연다 (0) | 2025.03.19 |
---|---|
엔비디아, AI 칩 로드맵 발표… 2028년까지 차세대 AI 칩 개발 가속화 (0) | 2025.03.19 |
한화그룹, 미국 군함 제조업체 오스탈 인수 추진… 방산 시장 확장 가속화 (0) | 2025.03.19 |
SK하이닉스, 차세대 HBM4 12단 최초 공개… AI 반도체 시장 주도할까? (0) | 2025.03.19 |
비트코인 시장 점유율 60% 돌파… 가상화폐 시장 위축 속 존재감 부각 (0) | 2025.03.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