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오늘은 2025년 4월 2일 뉴욕 증시 마감 시황과 함께 주요 이슈들을 정리해드리겠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발표를 불과 몇 시간 앞둔 상황에서,
뉴욕증시는 높은 변동성 끝에 3대 지수 모두 상승 마감에 성공했습니다.
📈 주요 지수 현황 (2025년 4월 2일 기준)
지수 | 종가 | 변동폭 |
🏛️ 다우존스30 | 42,225.32 | ▲235.36 (+0.56%) |
📊 S&P500 | 5,670.97 | ▲37.90 (+0.67%) |
💻 나스닥 | 17,601.05 | ▲151.15 (+0.87%) |
- 다우지수는 하루 전 약보합 마감 후 반등에 성공했고,
- S&P500은 3거래일 연속 상승,
- 나스닥은 2거래일 연속 상승 흐름을 보였습니다.
하지만 나스닥은 여전히 고점 대비 12.89% 낮은 수준으로,
기술주 조정 구간에서 완전히 벗어나지는 못한 상태입니다.
🇺🇸 트럼프의 ‘상호관세’ 발표 임박… 시장 긴장 최고조
- 트럼프 대통령은 장 마감 직후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모든 국가를 대상으로 한 ‘국가별 상호관세’ 발표 예정 - 시장에선 수입품 일괄 20% 관세 적용설이 유력하다는 관측
트럼프는 이번 조치를 **‘미국 해방의 날’**로 명명하며,
“미국 관세를 상대국 수준으로 일치시키겠다”는 의지를 밝혔습니다.
하지만 시장에선 여전히 다음과 같은 우려가 큽니다:
- 보복 관세 → 글로벌 무역전쟁 우려
- 공급망 압박 → 인플레이션 자극
- 경기 둔화 및 투자 심리 악화
🧠 기술주 혼조… 테슬라·아마존 강세, 메타·MS는 하락
‘매그니피센트 7(M7)’ 중 4종목이 상승하며 시장을 견인했습니다:
종목 | 변동률 | 주요 이슈 |
테슬라 | ▲5.33% | 머스크의 DOGE 사임설로 반등 |
아마존 | ▲2.00% | 틱톡 인수 추진 기대감 |
애플 | ▲0.31% | 기술주 전반 반등 수혜 |
엔비디아 | ▲0.25% | 2거래일 연속 상승 |
마이크로소프트 | ▼0.01% | 제한적 움직임 |
알파벳 | ▼0.02% | 보합권 |
메타 | ▼0.35% | 이익 실현 매물 출회 가능성 |
📝 테슬라는 실적 부진 우려에도 불구하고,
일론 머스크가 트럼프 2기 공직에서 물러나 기업 경영에 집중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주가를 끌어올렸습니다.
📌 아마존은 AI기업 앱러빈과 함께 틱톡 미국 사업부 인수에 나섰다는 소식으로 급등했습니다.
🧮 고용지표는 호재였지만… 관세 이슈에 묻혀
이날 발표된 3월 ADP 민간 고용지표는 시장 예상치를 크게 웃돌았습니다:
- 15만5천 명 증가 (예상치 10만5천 명, 전월 8만4천 명)
- 대기업과 중소기업 고용 모두 개선
하지만 고용지표는 시장 전체의 흐름을 바꾸지 못했습니다.
투자자들은 관세 발표에만 집중하는 분위기였습니다.
🧭 업종별 흐름과 기타 특징 종목들
S&P500 11개 업종 중 9개가 상승, 2개가 하락했습니다.
상승 업종 | 주요 변동률 |
임의소비재 | ▲2.02% (최고 상승) |
산업재 | ▲0.93% |
금융 | ▲0.90% |
헬스케어 | ▲0.63% |
에너지 | ▲0.07% |
📉 하락 업종:
- 필수소비재: ▼0.18%
- 통신서비스: ▼0.14%
주목할 개별 종목
- 코어위브: AI 클라우드 기업, ▲16.72% 상승
- 앱러빈: 틱톡 인수 기대감, ▲2.72%
- 오라클: ▲2.76%
- 블랙스톤: ▲3.43%
- 블랙베리: 실적 실망감에 ▼9.24%
- 리비안: 인도량 감소로 ▼5.95%
📉 금리 전망과 시장 심리 지표
금리 전망 (CME FedWatch 기준)
확률 | |
상반기 금리 인하 가능성 | 64.4% (전일 대비 ▼11.2%p) |
연내 2회 인하 이상 | 86.8% |
연내 3회 인하 이상 | 59.0% |
공포 지수 (VIX)
- 21.51포인트 (▼1.19%)
- 시장의 긴장은 여전히 유지, 다만 발표 이후 완화될 가능성도
📌 마무리: 관세 발표 이후가 진짜 시작
오늘 증시는 **‘예상에 대한 기대감’**으로 반등했지만,
내일 있을 트럼프의 관세 발표 내용이 실체화되면 시장은 새 국면에 진입할 수 있습니다.
📍 관세 수위
📍 적용 국가 범위
📍 보복 가능성
📍 정치적 해석 vs 경제 실효성
이러한 변수에 따라, 단기 급등 또는 급락 모두 가능한 시점입니다.
보수적인 관점에서 현금 비중을 늘리고 관망하는 전략이 유효할 수 있습니다.
'경제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도체 뉴스 해설] D램 가격 반등, 업황 회복 신호일까?… 관세 리스크에 변수도 (0) | 2025.04.07 |
---|---|
[뉴욕증시 마감 시황] 트럼프 상호관세 발표 직후, 증시 ‘폭락’… 하루 새 4500조 증발 (0) | 2025.04.04 |
🌿 웰빙에서 웰에이징으로, 건강하게 나이 드는 법 (1) | 2025.04.03 |
💰 생애 첫 투자족, 20·30세대는 왜 ‘처음’에 몰리는가? (0) | 2025.04.03 |
💤 조용한 퇴사(Quiet Quitting), 진짜 퇴사가 아닌 ‘마음의 퇴사’? (0) | 2025.04.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