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주 국내 증시는 글로벌 메모리 반도체 업황 회복 기대감과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완화적 통화정책 전망에 힘입어 상승세를 이어갔습니다. 특히 삼성전자가 5개월 만에 6만 원선을 돌파하면서 투자 심리가 크게 개선되었고, 외국인 자금의 유입도 뚜렷하게 나타나며 시장의 모멘텀이 강화되고 있는 모습입니다.
삼성전자 중심의 상승 랠리…외국인 자금 유입 주도
23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주 코스피 지수는 전주 대비 76.77포인트(2.99%) 상승한 2643.13에 마감했습니다. 이는 메모리 반도체 가격 반등에 따른 업황 회복 기대감이 시장 전반에 영향을 준 결과로, 대장주 삼성전자가 투자 심리를 견인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삼성전자의 주가는 지난 20일 종가 기준으로 6만 원선을 돌파한 데 이어, 21일에는 2.49% 오른 6만1700원에 마감했습니다. 이는 지난해 10월 이후 약 5개월 만에 기록한 상승입니다. 모건스탠리는 최근 보고서에서 삼성전자의 올해 영업이익 전망치를 29조 4000억 원에서 40조 8000억 원으로 대폭 상향하고, 목표주가도 6만5000원에서 7만 원으로 상향 조정하며 긍정적인 시각을 제시했습니다.
연준의 기준금리 동결 및 유동성 기대감도 한몫
미국 연방준비제도(Fed)는 지난주 FOMC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4.25~4.50%로 동결하면서도 연중 두 차례 금리 인하 가능성을 열어두는 포워드 가이던스를 제시했습니다. 또한 양적 긴축(QT) 규모 축소 결정도 발표하며 시장에 유동성 확대에 대한 기대를 키웠습니다. 이러한 정책 기조는 글로벌 증시, 특히 외국인 자금의 국내 유입을 자극하며 코스피 상승에 긍정적으로 작용했습니다.
실제로 지난주 유가증권시장에서 개인은 3조 7083억 원을 순매도한 반면, 외국인은 2조 7739억 원, 기관은 6891억 원을 순매수하며 주도적인 매수세를 보였습니다. 외국인들의 포트폴리오에는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주요 반도체 종목들이 중심을 이뤘습니다.
단기적 리스크 요인도 존재…관세 및 정치 불확실성 주목
이번 주 국내 증시는 대외적 관세 이슈와 국내 정치 불확실성 등 다양한 변수에 노출돼 있어 단기적인 변동성이 예상됩니다. 특히 다음 달 2일 예정된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를 앞두고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추가 발언이나 협상 진행 상황에 따라 시장이 민감하게 반응할 가능성이 큽니다.
또한 3월 31일 공매도 재개, 4월 1일 미국 무역대표부(USTR) 무역보고서 발표, 4월 2일 상호관세 부과 등 주요 이벤트들이 잇달아 예정되어 있어, 단기적으로는 노이즈가 유입될 가능성도 제기됩니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지연으로 정치적 리스크 해소가 늦어지고 있고, 공매도 재개와 미국의 무역 정책 발표 등과 맞물려 단기적인 시장 변동성이 불가피할 수 있다"고 진단했습니다.
이에 대해 이상준 NH투자증권 연구원은 "트럼프 관세 우려가 고점을 통과한 이후에는 감세안, 국내 정치 불확실성 해소, 경기 부양책 등의 호재가 시장에 반영될 것"이라며, "관세 이슈로 인한 주가 조정은 매수 기회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전략을 제시했습니다.
투자자 대응 전략
- 반도체 중심의 실적 개선 기대 종목에 주목
-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메모리 업황 회복 수혜주 중심으로 포트폴리오 구성
- 단기 이벤트에 따른 변동성 대비
- 4월 초까지는 정치·통상 이슈에 따른 장중 급등락 가능성에 유의
- 유동성 개선에 따른 성장주 관심 확대
- 금리 인하 기대감과 QT 축소로 인한 유동성 회복 가능성을 고려해 성장주 편입 검토
- 외국인 매수세 지속 여부 확인
- 외국인 순매수가 이어지는지를 체크하며 추세적 상승 여부를 판단
결론
지난주 코스피는 반도체 업황 회복 기대감과 글로벌 유동성 완화 분위기 속에 2600선을 재돌파하며 긍정적인 흐름을 보였습니다. 하지만 단기적으로는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 국내 정치 불확실성, 공매도 재개 등의 이슈가 불확실성을 키울 수 있는 변수로 작용할 전망입니다.
투자자들은 이러한 단기적 리스크를 인식하면서도, 반도체 중심의 실적 개선과 유동성 환경 개선이라는 중장기 모멘텀을 바탕으로 냉철한 대응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바람직하겠습니다.
'경제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체거래소 넥스트레이드, 거래 종목 350개로 확대…삼성전자 등 주요 종목 포함 (0) | 2025.03.24 |
---|---|
HBM 시장, 메모리 3강의 진검승부 시작된다 (0) | 2025.03.24 |
트럼프 대통령의 '유연성' 발언에 뉴욕증시 반등 성공…4주 연속 하락세 마감 (0) | 2025.03.22 |
애플, AI 기능 지연으로 허위 광고 소송 직면…투자자와 소비자 모두 실망 (0) | 2025.03.22 |
마이크론, AI 반도체 수요에 힘입어 깜짝 실적…국내 반도체 기업 실적에도 훈풍 불까? (0) | 2025.03.21 |